반응형
-table_tag
-
표:데이터를 보여줄 때 사용 <<로 썻었으나 지금은 div를 더 많이 사용 HTML5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-호완성이 좋아 다 써지긴함>>
-
<table>,<tr>,<th>,<td>,<thead>,<tbody>,<tfoot>로 구성
-
테이블 시작
-
<table border="테두리선 두께" width="테이블의 넓이" height="테이블의 높이" align="테이블의 정렬(수평정렬로 left,center,right)" bordercolor="선색 변경(영어|RGB)" bordercolordark="진한선 색변경" bordercolorlight="밝은선(흐린선) 색" bgcolor="바닥색 변경" background="이미지" cellspacing(칸사이 여백을 의미)="td사이 여백" cellpadding(테이블이 만들어지면 cell이라는 칸안에 여백이 생기는데 그 여백)="td내 여백">
-
<<대부분~~거의 쓰지 말라고 나올것! 다 CSS에서 하는 일이다.>>
-
행만들기
-
<tr bgcolor="행의 바닥색" background="이미지" height="행높이" align="정렬(tr하위에 있는 td정렬로 letf,center,right)" valign="정렬(td하위에 있는 td정렬로 top,middle,bottom">
-
테이블 컬럼명(table header) 만들기 -들어가는 문자열은 자동으로 진하고 가운데 정렬이 된다.
-
<th width="넓이" hight="높이" align="letf,center,right" valign="top,middle,bottom" colspan="합칠 칸의 수" rowspan="합칠 행의 수">
-
테이블의 칸(컬럼) 만들기-들어가는 문자열은 일반글자,왼쪽정렬이 기본
-
<td width="넓이" height="높이" align="letf,center,right" valign="top,middle,bottom" colspan="합칠 칸의 수" rowspan="합칠 행의 수" background="바닥 이미지" bgcolor"바닥색">
-
theader,tbody,tfoot이 테이블을 보기 편하게 만들어 준다.
테이블의 구성중 header부분(-컬럼명부분 의미적)을 명시
-
<thead><tr><th> </th></tr></thead>
-
눈에 보여지지 않고 코드상의 데이터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 <<이걸쓰면 무조건 브라우저의 맨위에서 보여준다.>>
-
소스의 작성 위치에 상관없이 가장 위로가서 보여진다.
-
테이블의 구성중 body(데이터를 보여주는)부분 명시
-
<tbody><tr><td> </td></tr><tr><td> </td></tr></tbody>
-
테이블의 구성중 footer 부분 명시
-
<tfoot><tr><td> </td> =>결과를 보여주는 코드</tr></tfoot>
-
눈에 보이지 않고 코드상의 결과를 보여주는 용도로 사용
-
소스작성 위치에 상관없이 가장 아래부분에 뿌려진다.
<<테이블은 속성의 상속이 가능하여 td하나하나 속성을 줘도 되지만, tr에 속성을 주면 td에 전부 적용된다.>>
<<table 속성에는 valign 이 없고 tr속성에는 width가 없다..>>
<<table 속성에는 valign 이 없고 tr속성에는 width가 없다..>>
*복잡한 모양의 테이블
-
칸 합치기 : colspan ="합칠 칸의 수"
-
테이블의 크기(2*2,2*4,,,같은)만큼 데이터를 넣는다고 가정했을때 그수만큼 td를 넣게되는데, 칸을 합칠경우 합치는 칸의 수-1만큼 칸을 밀어내기 때문에 그만큼의 td를 제거해야 한다.
-
행 합치기 : rowspan="합칠 행의 수"
-
마찬가지로 행을합쳐 그만큼 밀어내는데, 밀어내는게 컬럼을 위처럼 똑같이 오른쪽으로 밀어낸다. 따라서 합치는 칸의 수-1만큼 바로아래의 줄부터 합치는 행의 해당하는컬럼의 td를 줄수만큼 지워내야 한다.
=>칸은 옆을 지우고 행은 아래의 td들을 지워준다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자주가는 site</title>
</head>
<body>
<strong>자주가는 site 목록</strong><br/>
<table border="1" cellspacing="0" bordercolor="#555555">
<thaed>
<tr>
<th width="40">번호</th>
<th width="120">이름</th>
<th width="100">나이</th>
<th width="300">자주 방문하는 site</th>
</tr>
</thaed>
<tbody>
<tr>
<td>1</td><td>ooo</td><td>10</td>
<td>
<a href="https://google.com"><img src="../common/images/google.png" width="60" alt="구글"/></a>
(<a href="https://google.com" target="_new">새창으로</a>)
<!-- 이미지로 링크를 넘겨주려면 앞뒤 공백을 주면 안된다 이상해짐 -->
</td>
</tr>
<tr>
<td>2</td><td>***</td><td>15</td>
<td>
<a href="https://daum.net"><img src="../common/images/daum.png" width="60" alt="다음"/></a>
(<a href="https://daum.net" target="_new">새창으로</a>)
<!-- 이미지로 링크를 넘겨주려면 앞뒤 공백을 주면 안된다 이상해짐 -->
</td>
</tr>
<tr>
<td>3</td><td>%%%</td><td>18</td>
<td>
<a href="https://naver.com"><img src="../common/images/naver.png" width="60" alt="네이버"/></a>
(<a href="https://naver.com" target="_new">새창으로</a>)
<!-- 이미지로 링크를 넘겨주려면 앞뒤 공백을 주면 안된다 이상해짐 -->
</td>
</tr>
</tbody>
<tfoot>
<tr>
<td colspan="2" align="center">총계</td><td colspan="2" align="center">총 3개의 site</td>
</tr>
</tfoot>
</table>
</body>
</html>
-Markup Language의 특수문자 태그
-
특별한 기능을 가진 문자열
-
문법 : &문자열 ;
-
<<공백을 아무리 띄어도 하나밖에 들어가지 않는데 이 특수문자를 쓰면 공백을 여러개 넣을수 있다>>
-
공백 :
-
<<마크업언어는 <로 시작하기 때문에 <를 붙여 마크업언어를 작성해야 태그로 인식>>
-
< : <
-
> : >
-
<<특수문자의 시각문자라 구분위함>>
-
& : &
-
<<원형안에 문자>>
-
c : ©
-
<<잘쓰진않지만 모르면 아쉬워>>
-
" : &guot;
<!DOCTYPE html> | |
|
<html> |
<head> | |
<meta charset="UTF-8"> | |
<title>특수문자</title> | |
</head> | |
<body> | |
<!-- 공백 (white space: space bar, tab을 눌러 공백을 입력한 경우 --> | |
<!-- 웹 브라우저는 여러번의 공백을 입력하여도 한번의 공백만 출력한다. --> | |
<!-- -공백처리 --> | |
오늘은 불금입니다.<br/> | |
<!-- <는 태그를 시작할 때 사용하는 기호 --> | |
<br/> : 줄변경에 대한 일 <br/> | |
<p> : 문단을 나누는 일<br/> | |
&nbsp; : 공백한칸을 만드는 일.<br/> | |
copyright ©ⓒ<br/> | |
오늘은 "금요일" 입니다.<br/> | |
</body> | |
</html> |
반응형
'국비지원학원 > HTML,JavaScript,jQ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9일차-CSS (0) | 2019.01.30 |
---|---|
68일차-HTML Form Control (0) | 2019.01.29 |
67일차-HTML_div tag (0) | 2019.01.27 |
66일자-HTML Tag (0) | 2019.01.25 |
65일차-HTML (0) | 2019.01.24 |